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피부가 메마르는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 알아보기

by 락꾸 2023. 7. 21.

피부가 메마르다는 이야기는 로션을 바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는 공기가 메말라가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건조하다는 것은 습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더 자세히 확인해 볼까요?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발령되는 이유는?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발령되는 이유는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기가 건조하다는 것은 습도를 통해 알 수 있는데요.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로 습도를 의미합니다. 

 

 

남자 소방관

 

 

이를 수치화한 것이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기상청의 건조주의보와 경보의 기준을 보면 실효습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 실효습도란?
    공기 중의 습도와는 관계없이 물체(목제)에 대한 습도를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낮을수록 건조함을 뜻합니다.

  • 상대습도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며 느끼는 습도가 상대습도입니다.

즉! 건조주의보나 건조경보가 발령되는 기준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목제의 습도를 기준으로 하는 실효습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의 조건은?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는 건조주의보와 경보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찬바람이 불어오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차가운 바람은 뜨거운 바람에 비해 습도를 머금을 수 있는 양이 작기 때문에 특히 겨울에 건조해지는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실효습도가 50% 미만이 되면 큰 화재로 번질 위험성이 높아지는데요.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건조주의보
    실효습도 35% 이하로 2일 이상 계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건조경보
    실효습도 25%이하로 2일 이상 계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의 주된 목적은 건조함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경고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한 지역에 건조함이 지속될 때에는 화재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미리 대처하고 예방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발령 되었다면?

 

피부가 건조하면 로션을 바르면 되지만 겨울에 산에 올라가 담배를 피우는 것은 정신 나간 행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산불의 발생원인은, 사람의 과실이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그리고 높은 확률로 담배 불로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진화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바람에 따라 산불의 방향이 달라지기도 하고, 불을 진화하기 위해 물을 끌어오기도 쉽지 않으며, 시야 확보에도 큰 어려움 등이 있기 때문입니다. 

 

오래전부터 산불을 화마(火魔)라고 부른 이유가 있습니다. 산불이 발생하면 불이 바람을 타고 이곳저곳 동시에 발화를 일으키고 길게는 몇 킬로미터까지 날아가 새로운 산불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사람이 산불의 원인이니, 사람만 조심하면 됩니다. 특히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가 발령이 되었다면 산에 오를 때는 라이터와 버너와 같은 화재위험이 있는 것 자체를 가지고 가면 안 됩니다.

 

 

 

마치며

 

건조주의보와 건조경보 알아보았습니다.

산불은 인명피해가 그다지 크지는 않습니다.

 

대신에 오랜 시간 자라온 나무의 훼손과 재산의 손실, 대기의 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 실생활에 밀접한 피해를 입힙니다. 그리고 복구되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즉 손실이 하나씩 하나씩 중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건조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되었다면 산에 오를 때는 특히 주의를 해주셔야 하며 설마?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은 너와 나 모두가 망하는 지름길이라 생각하시기를 바랍니다.

 

 

이상 락꾸였습니다.

더 흥미로운 글을 보시려면 락꾸를 눌러주세요~ ^^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는? 대처법 확인하기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의 기준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주로 여름에 발생하는 폭염은 사람을 환장하게 만듭니다. 물론 내가 미치도록 더우면 그게 바로 폭염이라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기준이

kyong2oo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