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 음식인 김치를 중국에서는 자꾸 파오차이라고 부르고 있는데요. 일부 온라인 마켓에서는 이러한 용어를 그대로 써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김치라는 용어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왜 파오차이라고 부르고 있을까요?
중국의 파오차이란?
중국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라고
부르는 것은 언어적 및 문화적 차이 때문인
경우가 많은데요.
중국어로 김치의 올바른 표현은
신치(辛奇)입니다.
그런데 신치라고도 잘 불리지 않고,
파오차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중국에서 만들어진 중국산 김치들이
파오차이라는 이름을 달고 전 세계에
판매가 되고 있는 경우가 있기에~
이런 명칭상의 문제가 계속 발생되고 있죠.
중국어에서 '파오차이'는 발효된 채소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파오'(泡)는 '절이다', '담그다'를 의미하고,
'차이'(菜)는 '채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오차이'는 발효 채소 또는
절인 채소를 넓게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왜
김치를 파오차이라 부를까?
한국의 김치는 배추, 무 등의 발효 채소
음식이지만, 중국에도 이와 유사한
다양한 발효 채소 음식이 있습니다.
중국 내에서 김치와 비슷한 음식들도
'파오차이'라는 불리도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한국의 김치를 특별한 종류의
'파오차이'로 부르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이것을 자신들에게서 변화한 종류의
파오차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문제이겠죠
하지만 한국의 김치는 그 독특한 제조 방법,
맛, 그리고 사용되는 재료들 때문에
중국의 파오차이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김치와 파오차이의 차이점은
한국의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泡菜)는
둘 다 발효 채소를 기반으로 하는 절임
음식이지만, 제조 방법, 사용하는 재료,
그리고 맛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재료
김치는 주로 배추와 무를 기본으로 하며,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소금, 설탕 등
다양한 양념을 사용하여 매콤하고 감칠맛
나는 맛을 냅니다.
반면, 파오차이는 배추, 무, 오이, 고추 등
다양한 채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체로 양념을 적게 사용하며, 때로는
단순히 소금과 물만으로 발효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맛
김치는 고춧가루와 다양한 양념을 사용하여
매콤하고, 새콤하며, 약간의 단맛과
강한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파오차이는 일반적으로 매운맛이
없거나 덜하고, 김치보다는 상대적으로
담백하거나 새콤한 맛이 강합니다.
치킨 무와 비슷한데 거기서 단맛을 뺀 맛!
3. 발효 방법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 발효가 주로
이루어지며, 서늘한 곳에서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천천히 발효시킵니다.
하지만 파오차이는 짧은 시간 동안
발효시키며, 때로는 상온에서 또는
고온 발효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발효 상태에 따라서 독특한 맛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문화적 및 지역적 특성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으로,
수백 가지 종류가 있을 만큼 다양한 종류의
김치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식문화가 김치를 빼놓을
수 없을만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요.
반면에 파오차이는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만들어 먹고 있지만,
특정 지역인 쓰촨성 지역의 향토음식에
가깝고, 생김새도 전혀 다르기 때문에
차라리 김치보다는 피클에 가까운
음식이라 해야 그나마 비슷합니다.
마치며
중국은 왜 김치를 파오차이라 부를까? 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인터넷 기사와 뉴스에서 종종 문자 표기의
오류로 김치를 파오차이라고 적힌 내용을
볼 수 있는데요.
김치와 파오차이를 정말로 구분을 못해서
잘못 적은 거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실제로 파오차이를 한번 보기만 했어도
김치와는 전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을 텐데 말이죠 ^^
이상 락꾸였습니다.
'음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설탕과 흑설탕의 차이점, 왜 흑설탕을 잘 안넣을까? (0) | 2024.02.06 |
---|---|
소화를 도와주는 효소와 보충제는? 브로멜라인과 파파인 (0) | 2024.02.03 |
카오위는 마라탕과 뭐가 다를까? (0) | 2024.02.01 |
바샤 커피가 커피계의 에르메스라던데, 뭐가 다를까? (0) | 2024.01.31 |
닭가슴살만 먹다가는 통풍 걸린다, 단백질 과다 섭취 주의! (1)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