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이야기

MSG, 조미료는 몸에 나쁠까? 다시다와 미원에 대한 오해는?

by 락꾸 2024. 1. 19.

MSG, 즉 Monosodium Glutamate는 음식에 흔히 사용되는 조미료입니다. 그러나 이 조미료의 안전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는데요. MSG, 조미료는 정말 우리 몸에 나쁜 영향을 끼칠까요? 다시다와 미원은 어떤 오해를 받고 있는 게 아닐까요?

 

음식에 조미료를 넣고 있는 여자

 

MSG(조미료)란?

 

MSG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의 나트륨 염입니다.

우리는 이 복잡한 명칭을 줄여서!

MSG 또는 조미료!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비필수 아미노산이라는 말로 알 수 있듯이,

사람이 필요해서 만들어낸 식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조미료는 감칠맛을 더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식품의 맛을 강화시키는 데

무척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다시다나 미원, 라면 수프와 같이 조금만

넣어도 맛이 확~살아나는 것이 감칠맛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SG의 안전성에 대해서 꾸준하게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주로 두통, 근육 경련,

알레르기 반응 등의 증상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의혹들을 받고 있죠.

 

그러나 이런 증상과 MSG 섭취 간의

연관성은 어느 정도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어 있습니다.

 

음식에 조미료를 넣고 있는 여성(만화스타일)

 

조미료는 몸에 나쁠까?

 

조리료가 몸에 안 좋다는 이미지 때문에

여러 연구기관에서 MSG의 안전성을

평가를 했었는데요.

 

예를 들어,

 

1. 국제 식품 첨가물 위원회(JECFA)와

2. 미국 식품의약국(FDA)

 

MSG를 일반적으로 안전한 식품 첨가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MSG 섭취가

일반적으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드물다고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MSG 섭취 시 부작용은?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과도한 MSG 섭취가
누구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MSG를 과도하게 먹게 되면 두통, 메스꺼움,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라고 말이죠.

 

음식에 조미료를 넣고 있는 여자-2

 

그러나 내용을 잘 읽어 보시면,

과도하게 먹게 되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다면~

설탕을 과도하게 먹어 살이 찔 수 있다!

너무 매운 음식을 먹으면 엉덩이에 불난다!

커피를 많이 마셔 소변이 자주 마렵다! 등

 

이런 종류의 부작용과 별다를 것이 없습니다.

 

뭐든지 많이, 과도하게 먹으면!

사람에게는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MSG의 이런 부작용은 일반적인

음식을 먹어도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똑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조미료의 과식을 막기 위해

기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MSG 섭취 권장량은?

 

세계 보건 기구(WHO)는
하루 MSG 섭취량을 체중 1kg당 0.3g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하면,

하루에 약 1.5~2.5g의 MSG가 됩니다.

(보통의 숟가락에 평평하게 깔릴정도~)

 

음식에 MSG를 넣고 있는 여자

 

다시다와 미원에 대한

오해는?

먹어도 된다는 뜻은

안전하다는 뜻이 됩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요즘 굴소스와 치킨 스톡과 같은 걸 음식에

자주 이용하고 계시는데요.

굴소스와 치킨 스톡도 조미료입니다.

 

우리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다시다와 미원과 같은, 똑같은 MSG입니다.

 

다만, 특정한 재료인 굴과 치킨을 전면에

내세우며, 뭔가 더 몸에 좋아 보이고,
건강해 보이는 것 같지만

다를 거 전혀 없습니다.

 

똑같은 MSG이지만 다시다와 미원은

머릿속에 그려지는 이미지 때문에

본능적으로 "나쁠 것 같다"라는 오해를 받고

있는 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MSG에 대해 너무 부정적으로만

생각하지 마시고, 적당량으로 더 맛있게,

감칠맛 나게~ 활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더 현명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음식점에서 손맛!이라 부르려면,

조미료 잔뜩은 안 되겠죠 ^^

 

 

라면을 끊으면 어떻게 될까?

라면을 끊으려 한다면 어떠한 계기가 있을 텐데요. 라면을 끊으면 어떻게 되는지? 우리 몸은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라면은 몸에 안 좋을까? 먼저 라면이 우리 몸에 안 좋은

kyong2oo2.tistory.com

 

결론

 

MSG, 조미료는 몸에 나쁠까?

다시다와 미원에 대한 오해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글을 요약해 보자면~

현재까지의 과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MSG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안전하며,

과도하게 섭취되지 않는 한 부작용의

위험이 낮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민감도나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인의 건강 상황에 따라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락꾸였습니다.

 

마라탕에 중독되는 이유가 뭘까? 마라탕의 부작용은

마라탕을 처음 먹어보면 이상한 향신료 맛이 확 올라와서 절로 얼굴이 찌뿌려지지 않으셨나요? 그런데 조금 더 먹어보면 이게 묘하게 땡기는 맛이 있는 것도 느끼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마라탕

kyong2oo2.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