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0 골뱅이 무침의 원산지는 윤기 나는 소스에 골뱅이를 소면에 감싸서 먹으면 쫄깃쫄깃, 새콤달콤. 골뱅이 무침은 양념맛이 중요하긴 하지만 골뱅이 자체로도 매우 맛있는데요. 이렇게 맛있는 골뱅이가 뭐로 만드는지 아시나요? 골뱅이는? 어찌 보면 소라~ 어찌 보면 달팽이~ 어찌 보면 논에 사는 우렁이~ 어떻게 보면 다슬키 매우 큰 거~ 골뱅이 먹는 걸 좋아하지만 이게 정확히 뭔지에 대해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골뱅이는 생김새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우리가 먹는 골뱅이는 '고둥'에 속합니다. 물레고둥, 고운띠물레고둥, 큰구슬우렁이 등의 종류로, 모두 고둥과 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먹는 골뱅이는 물레고둥과, 고운띠물레고둥이며, 통조림에 쓰이는 골뱅이는 가격이 저렴한 큰구슬우렁이가 많습니다. 골뱅이는 한국만 먹는다 골뱅이.. 2023. 11. 21. 번데기는 뭐로 만들까? 우리의 식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번데기는 어떤 곤충으로 만들어지는지 아시나요? 번데기는 매우 좋은 음식인데, 외형상의 징그러움과 곤충이라는 것 때문에 혐오스럽게 보는 사람도 많습니다. 번데기는 뭐로 만들까? 번데기를 보시면 다 비슷비슷하게 생긴 걸 보실 수 있는데요. 우리가 먹는 번데기는 누에나방의 번데기이며, 누에나방이 변태과정을 거쳐 번데기가 되었을 때, 삶아지게 되면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생김새가 비슷비슷한 것이죠. 번데기는 더럽다? 우리가 곤충이라 하면, 모기, 파리와 같은 해충을 먼저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누에나방 번데기는 모기와 파리와 같은 해충과는 차원이 다른 깨끗함을 자랑합니다. 누에나방 번데기는 매우 예민한 곤충으로, 주위환경(공기, 흙, 먹이 등)에 극도로 민감해서 환경이 오염.. 2023. 11. 21. 방귀 냄새의 이유 / 방귀 참으면... 방귀가 나올까 봐 조마조마하시나요? 아니면 냄새가 지독할까 봐 걱정이 많으시나요? 방귀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이지만 부끄러움을 유발하는 생리 현상이기도 합니다. 방귀가 나오는 이유는 우리 몸은 음식을 소화할 때, 일정량의 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이 가스 중 일부는 우리의 입을 통해 나오지만, 다른 일부는 궁둥이로 방향을 틀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배출되는 가스가 바로 방귀입니다. 방귀 뀔 때 소리 나는 이유는 방귀를 뀔 때 소리가 나는 이유는 가스가 방출될 때 괄약근이 벌어지면서 떨리기 때문입니다. 괄약근이 크게 떨리면 큰 소리가 나고~ 작게 떨리면 작은 소리가 나는 원리인데요. 소리는 작지만 강력한 냄새가 나는 방귀는 방귀를 뀐다라고 하기보다는, 방귀가 새어나온다는 표현이 더 어울립니다. 방귀의 주요 .. 2023. 11. 20.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 누르면 전기세가 더 나오는게 맞을까? 전설처럼 전해져 내려오는 전기료 아끼는 방법 중에 하나!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전기세를 아낄 수 있다! 이 말이 과연 맞는 말일까요? 엘리베이터 괴담의 진실은? 아닙니다! 엘리베이터 닫침 버튼 누른다고 전기세 안 아껴집니다. 전기료의 차이는 단연코 없습니다! 닫침 버튼 누르면 안 아껴진다고?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닫힘 버튼을 눌러서 문을 닫는 것은, 전력 소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자동으로 문을 닫기 때문에 닫힘 버튼을 누르든 안 누르든 전력은 일정량 소모됩니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며, 닫힘 버튼을 누르는(=연타) 것이 전기세에 미치는 영향은 사실상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엘리베이터 전기세를 아끼려면? 엘리베이터에서 진정한 의미의 .. 2023. 11. 19. 이마트 VS 쿠팡 / 이커머스 시장의 승자는? 이마트에게 쿠팡이 경쟁 상대가 될 거라고 생각해 본 적이 있으셨나요? 물론 저도 생각 조차 해보지 않았었는데요. 현재 상황은 어찌 되어가고 있을까요. 이커머스 시장을 주도하는 회사가 과연 이마트일까요? 쿠팡일까요? 이마트의 부진은? 신세계 그룹을 배경으로 하며, 대형 마트의 선두주자이며, 가장 많은 점포 수를 가지고 있는 곳이 바로 이마트입니다. 전국에 운영 중인 이마트 점포가 129개로, 홈플러스 116개 롯데마트 117개 점포 개수만 보면 경쟁 업체인 홈플러스와 롯데마트에 비해 조금 앞선 수준 같아 보이지만, 홈플러스는 사모펀드에 의해 운영되는 불확실성, 롯데마트는 애당초 경쟁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이마트는 독보적인 NO.1 대형마트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마트의 주식상황은 매우 처.. 2023. 11. 19. 무알콜 맥주는 탄산음료, 비알콜 맥주는 술이다! 술을 좋아하기는 하는데 숙취와 술의 높은 칼로리 때문에 주저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이 무알콜 음료입니다. 하지만 무알콜이라고 하지만 도수가 낮을 뿐이지 알콜은 들어가 있는데요. 무알콜의 기준은 뭘까요? 무알콜의 기준은 우리나라 주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무알콜의 기준은 알코올 함량이 0%인 제품을 뜻하는데요. (0도) 알코올이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탄산음료에 속합니다. 무알콜을 "알코올 프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비알콜의 기준은 동일한 주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비알콜올의 기준은 알코올 함량이 1% 미만인 제품을 뜻합니다. (1도) 알콜이 소량이라도 들어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무알콜과는 전혀 다른 제품입니다. 알코올이 조금이라도 들어가 있기 때문에 비알콜 맥.. 2023. 11. 18. 굴, 석화 어떤 걸 먹을까? 굴 제철 확인! 싱싱한 굴을 찾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굴은 맛도 좋지만 영양소도 풍부하기 때문에 많이 찾게 되는 음식입니다. 굴을 구매하시다 보면 굴의 종류가 무척 많고, 가격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셨을 텐데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굴과 석화 굴의 차이는 1. 생굴 (껍질이 까져있는 굴) 2. 석화 굴 (껍질이 까져있지 않은 굴) 3. 하프쉘 (껍질이 한 면만 까져있는 굴) 석화를 까서 판매하면 생굴이고~ 석화를 까지 않고 그대로 판매하면 석화 굴~ 하프쉘은 양념반, 후라이드 반과 같은 개념의 상품입니다. 똑같은 굴인데 어떻게 파느냐에 따라서 굴과 석화로 나뉘게 되는데요. 따지고 보면 굴과 석화 굴은 차이가 없다는 뜻이 됩니다. 굴과 석화 중 어떤 걸 살까 굴과 석화 중 어떤 걸 사는 게 좋을까요.. 2023. 11. 18. 에리스리톨 감미료는 뭘까? 스테비아에 들어있던데.. 스테비아를 드시고 있는 분들에게는 에리스리톨이란 감미료도 익숙한 단어인데요. 에리스리톨은 어떠한 감미료인지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에리스리톨은? 에리스리톨은 주로 옥수수, 배, 적포도, 등 식물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천연 설탕 알코올로~ 주로 옥수수전분에서 글루코스를 추출하여 발효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좀 더 자세히는~ 이 발효 과정에의 효모가 글루코스를 에리스리톨로 바뀌게 되면서 만들어집니다. 에리스리톨의 특징 에리스리톨은 설탕의 60~70% 정도의 단맛을 가진 저칼로리 감미료입니다. 설탕에 비해 최대 94%의 적은 칼로리가 들어있어 "칼로리가 없는 감미료다"라고 말할 순 없지만, 에리스리톨을 먹으면 체내에 거의 흡수가 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0칼로리와 같은 취급을 받.. 2023. 11. 17. 스테비아는 설탕을 대신 할 수 있을까? 인공감미료하면 아스파탐 등의 부정적 인식이 있으실 텐데요. 스테비아도 인공감미료입니다. 하지만 아스파탐과는 아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스테비아는 설탕을 대신할 진정한 대체자가 될 수 있을까요? 스테비아는? 스테비아는 스테비아란 식물로부터 추출한 자연적인 천연 감미료입니다. 스테비아 식물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스테비오사이드가 감미료의 정식 명칭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칭 스테비아라 불리고 있습니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아스파탐, 사카린과 같이 특정 원료에서, 화학식으로 뽑아낸 감미료가 아닙니다. 아스파탐이 발암 물질이라고? 그럼 스테비아로? 아스파탐이 발암 물질로 분류 예정이라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내용인데요. 정확히는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2B군)"으로 분류할 예정.. 2023. 11. 17. 슈링크 플레이션이란? 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정부에서 생필품의 슈링크플레이션 실태를 점검하겠다는 발표를 했는데요. 슈링크플레이션의 뜻과 의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의 뜻 shrinkflation(슈링크플레이션) 이 단어는 ‘shrink’ 즉 '줄어들다’와, ‘inflation’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이 합쳐진 합성어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의 의미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은 물가상승률이나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제품의 크기나 무게를, 줄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들이 원가 상승에 대응하거나 이익률을 유지하고자 할 때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 소비자들은 같은 가격을 지불하면서도 기존보다 적은 양의 상품을 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의 발생 이유는? 슈링크플레이션.. 2023. 11. 17.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85 다음